Disintegration of the Cogito 코기토의 해체

Oil on linen
116.8 x 80.3cm(50P)
2024

Coup d’état

Oil on linen
116.8 x 80.3cm(50P)
2024

Two figures cling to each other within the ruins of a collapsed circular structure. This is not a mere physical clash, but a symbolic depiction of the collapse of internal order and the reversal of power. The work reinterprets a coup not as external violence, but as an ontological upheaval revealing the instability of the human psyche through the disintegration of surrounding structures.
Their gestures break down the boundary between the dominant and the dominated, exposing a primal human instinct to hold onto the other even in the moment of collapse. It is not a tale of victory or defeat, but a tragedy born of the impossibility of coexistence.
Here, the coup is not a rebellion, but a rupture of self-awareness born atop fractured memory and on that ruin, we still exist, clinging to one another.

두 사람은 무너진 원형 구조물 안에서 서로를 붙든 채 버티고 있다. 이는 단순한 충돌이 아닌, 내면 깊은 곳에서 일어난 질서의 붕괴와 권력의 역전을 상징한다. 또한 쿠데타를 외적 폭력이 아닌 존재론적 전복으로 재해석하고자 하였으며, 구조물의 해체와 함께 인간 내면의 불안정성을 드러낸다.

인물들의 손짓은 지배와 피지배의 경계를 무너뜨리고, 전복의 순간조차 타자를 붙드는 인간의 본능을 드러낸다. 이는 단순한 승리나 패배가 아닌, 공존 불가능성에서 비롯된 비극이다.

여기서 쿠데타는 반란이 아닌, 무너진 기억 위에서 탄생하는 자기 인식의 파열이며, 그 폐허 위에서 우리는 여전히 서로를 붙든 채 존재한다.

불일치의 상(像) - The Image of Discrepancy

Oil on linen
80.3x80.3cm
2024

A rupture between what is seen and what truly exists,
a trace that resembles me, yet can never be me.
보이는 것과 존재하는 것 사이의 균열,
나와 닮았지만 결코 나일 수 없는 잔상들.

의식 이후 (After Consciousness)

Oil on linen
130.3x97.0cm
2024

Existence, at times, remains only as weight.
Not a weight of pain, but the shell of a being stripped of meaning.
It is what lingers after the self has been shed
a husk of memory where the form called ‘I’ has vanished.
실존은 때로 무게로만 남는다.
그 무게는 고통이 아니라, 의미를 잃은 존재의 껍질
이다.
이것은 자아가 벗겨진 자리, ‘나’라는 형상이 사라진
뒤 남은 기억의 외피다.

눈 없는 증인들Eyeless Witnesses

Oil on linen 
116.8 x 80.3cm(50P) 
2024

‘눈 없는 증인들’은 권력의 자리에 있으나 진실을 보지 않으려 하거나, 볼 수 없는 자들이다. 그들은 침묵 속에서 판단하고, 형상을 갖추었지만 내용은 비어 있다. 이는 현대 사회 속 ‘형식화된 진실’ 즉, 진실을 다룬다고 하지만 정작 진실에 도달하지 않는 시스템을 은유하며 보는 것과 아는 것, 존재와 기능 사이의 간극을 드러냄으로써 ‘인식하지 않는 증인’이라는 존재론적 역설을 나타내고자 하였다.

The “eyeless witnesses” occupy positions of power, yet they either refuse to see or are fundamentally incapable of seeing. They pass judgment in silence, possessing form but lacking substance. This evokes the modern phenomenon of “formalized truth”systems that claim to seek truth but never truly arrive at it. By exposing the gap between seeing and knowing, presence and function, the piece embodies an ontological paradox: the witness who does not perceive.

잔재(殘滓) Remnant

Oil on linen
130.3x97.0cm
2024

The withered form speaks.
Existence is not what has grown, but what remains.
말라버린 형상은 말한다.
존재는 자란 것이 아니라, 남은 것이라고

Oil on linen
37.9 x 37.9cm
2024

길은 앞으로만 있다.
되돌아보지 않는 여정이란,
기억을 등에 지고 걷는 일이다.

The Finiteness of Art

Ultrachrome HDR Print on Canvas
162.2 × 130.3cm
2024

마우리치오 카텔란의 코미디언은 바나나를 덕트 테이프로 벽에 붙인 작품으로, 현대 미술의 가치 체계를 재조명하며 소비주의와 예술의 본질에 대한 논쟁을 불러일으켰다.
이 그림은 갤러리의 관람객들이 경악하는 가운데 한 남성이 작품을 먹어버리는 장면을 묘사한다. 이는 실제로 코미디언을 먹어버린 퍼포먼스 아티스트 데이비드 다투나의 사건을 떠올리게 하며, 예술의 소모성과 그 가치의 불안정성을 강조한다. 또한, 초현실적인 표현과 과장된 표정을 통해 미술계의 과도한 반응과 현대 미술의 난해함을 풍자하고 있다.
작품의 배경 속 인물들의 극단적인 반응과 천장에 앉아 있는 인물은 예술 작품을 바라보는 시각이 과연 절대적인가에 대한 의문을 제기한다. 더불어, 기존의 명화들과 어색하게 공존하는 장면을 통해 전통과 현대 미술의 충돌을 시각적으로 형상화한다.
궁극적으로, 이 작업을 통해 현대 미술의 가치 판단 기준에 대한 새로운 고민을 유도하고자 하였다.

Maurizio Cattelan’s Comedian, a work where a banana is taped to the wall with duct tape, challenges the value system of contemporary art, sparking debates about consumerism and the essence of art itself.
The image depicts a scene where a man eats the artwork while gallery visitors look on in shock. This recalls the incident in which performance artist David Datuna ate the Comedian banana, highlighting the consumability and inherent instability of art’s value. Through surrealist expressions and exaggerated reactions, the piece satirizes the excessive responses in the art world and the complexities of contemporary art.
The extreme reactions of the figures in the background, along with a character sitting on the ceiling, raise the question of whether there is an absolute perspective on art. Additionally, the awkward coexistence with classical masterpieces visually embodies the clash between traditional and modern art.
Ultimately, the work invites a new reflection on the criteria used to judge contemporary art.

Blindmand’s Bluff

Ultrachrome HDR Print on Canvas
193.9 × 97.0cm
2024

눈이 가려진 채 손을 내미는 어리석음이여, 보이지 않는 진실을 쥐려다 허공을 잡고, 서로를 짓누르는 무지의 무게로 짓눌리네. 
편견의 미로 속에서 허상에 휘둘리며, 거짓과 착각의 실타래만 깊어가니
발 아래 진실은 묻히고, 그들은 영원히 심연속에 살아가리라.
Oh, folly of reaching out with blinded eyes, grasping at the void in pursuit of unseen truth, weighed down by the burdens of ignorance pressing upon each other.
Led astray in a labyrinth of prejudice, ensnared by illusions as threads of deceit and delusion grow ever deeper.
Beneath their feet, truth is buried, and they shall dwell forever in the depths of an endless abyss.

Heterogeneity

Ultrachrome HDR Print on Canvas
162.2 × 130.3cm
2024

푸른 하늘 아래, 익숙하면서도 기묘한 광경이 펼쳐진다. 분홍빛 플라밍고와 인간의 경계가 흐려진 세계. 일부는 거대한 플라밍고가 되어 인간과 조류의 구분이 무의미하다.

소녀는 작은 플라밍고 인형를 품에 안고 있으면서도 표정은 불안해 보인다.
이는 생물학적 변이의 은유일까, 아니면 정체성과 동질성 사이에서 갈등하는 현대인의 자화상일까? 소녀는 이곳에서 동떨어져 있으며 가장 소외된 듯 보인다.
아마도 그녀는 집단 속에서 본인의 개성을 잃어가는 현대인의 초상일것이다.

당신은 이질적인 존재로 남을 것인가, 아니면 플라밍고가 될 것인가?

Beneath the blue sky, a scene both familiar and surreal unfolds. In this world, the boundary between flamingos and humans has blurred some have transformed into giant flamingos, rendering the distinction between bird and human meaningless.

A young girl clutches a small flamingo doll in her arms, yet her expression is one of unease.
Is this a metaphor for biological mutation, or a reflection of modern individuals caught between identity and conformity? Among them all, she appears the most isolated, the most estranged.
Perhaps she is the portrait of a modern soul losing its individuality within the collective.

Will you remain an anomaly, or will you become a flamingo?

Posthuman Venus

Ultrachrome HDR Print on Canvas
162.2 × 97.0cm
2024

『Posthuman Venus』는 인간 중심주의의 종언 이후, 미(美)와 존재에 대한 인식이 어떻게 재구성되는지를 묻는 작업이다. 고전 회화의 아이콘인 보티첼리의 ‘비너스’는 이 작품 속에서 더 이상 자연의 순수성과 이상적 여성성을 대표하지 않는다. 그녀는 인공적인 육체, 왜곡된 비율, 기계적 표면을 지닌 채로, 인간과 비인간, 유기체와 기계의 경계를 넘나드는 포스트휴먼의 상징으로 다시 태어난것이다.
이 이미지 속 인물들은 모두 불완전한 조합체들이며 가면을 쓴 자, 근육이 인공적으로 강조된 자, 형태가 해체된 자. 이들은 현대 사회가 만들어낸 새로운 신화의 등장인물들로, 이는 정체성의 탈중심화, 신체의 재구성, 기술적 진화가 지닌 미적 역설이다.

비너스를 바라보는 군상들 또한 관람자의 시선을 대리하며, 주체와 객체의 위치는 끊임없이 뒤바뀐다. 이 장면은 더 이상 신의 탄생이 아닌, 포스트휴먼 주체의 자기 선언이다. 그것은 태어나는 것이 아니라 구성되고, 완성되는 것이 아니라 항상 변형 중에 있다.

그래서 우리는 여전히 인간을 중심으로 아름다움을 상상할 수 있는가?
새로운 미는, 어쩌면 인간 너머의 감각 속에서 태어나고 있을지도 모른다.

Posthuman Venus questions how our understanding of beauty and existence is restructured in the aftermath of anthropocentrism. Botticelli’s iconic Venus once a symbol of natural purity and idealized femininity is no longer tethered to those classical ideals. Instead, she is reborn as a symbol of the posthuman: a being with an artificial body, distorted proportions, and mechanical surfaces, traversing the boundaries between human and non-human, organic and synthetic.
The figures in this image are imperfect hybrids masked, artificially muscular, fragmented in form. They represent characters from a new mythology shaped by contemporary society, embodying the decentering of identity, the reconstruction of the body, and the aesthetic paradoxes of technological evolution.
The crowd gazing upon Venus mirrors the viewer’s gaze, constantly shifting the positions of subject and object. This is no longer the birth of a goddess it is the self-declaration of a posthuman subject. Not born, but assembled. Not complete, but always in transformation.

So, can we still imagine beauty through a human-centered lens?
Perhaps the new aesthetic is already being born beyond the human, within a different sensory realm.

Epicurus' Paradox

Ultrachrome HDR Print on Canvas
145.5 × 97.0cm
2024

만약 그가 악을 없애길 원하지만 그것을 할 수 없다면 그는 무력하다. 이것은 신에게 어울리지 않는다.
신이 악을 없앨 수 있지만 그것을 원하지 않는다면 그는 악의적인 것이다. 이것도 똑같이 신에게 적절치 않다.
만일 신이 악을 없애길 원하지도 않고 할 수도 없다면 그는 악의적이고 무력하다. 그러므로 신이라고 할 수 없다.
신이 악을 없앨 수도 있고 그것을 원하기도 한다면, 이것이야말로 유일하게 신에 합당한 일이지만 왜 악이 존재하는가? 아니면 왜 신은 (이 작품에서는 타락한 천사와 죄인들을 일컫는다)*악을 없애지 않는가?

If he wants to get rid of evil but can‘t do it, he is powerless. This doesn’t suit God.
God can get rid of evil, but if he doesn‘t want it, he is malicious. This is also not appropriate for God.
If God doesn’t want to get rid of evil and can‘t do it, he is malicious and helpless. Therefore, it can’t be called God.
If God can get rid of evil and wants it, this is the only thing worthy of God, but why does evil exist? Or why doesn‘t God get rid of evil?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본 작업은 죄를 지은 자들이 잘먹고 잘사는 사회현실에 대한 비판을 다루고 있고 각 종교와 신념 체계에 반하는 의도를 담고 있지 않으며, 그들의 믿음을 존중하고 존경하는 마음을 바탕으로 이루어졌음을 강조드립니다. 
저는 모든 종교의 가치를 존중하며, 이 작업은 그 다양성을 이해하고 받아들이기 위한 노력의 일환입니다.

This work does not contain intentions that are contrary to each religion and belief system, and emphasizes that it was done based on respect for and respect for their faith.
I respect the values of all religions, and this work is part of an effort to understand and accept its diversity.

3 Idiots

Ultrachrome HDR Print on Canvas
145.5 × 97.0cm
2024

각기 다른 방향을 바라보는 세 명의 인물은 서로를 의식하지 않은 채 고립된 상태에 놓여 있으며, 그들 사이의 연결은 단절되어 있다. 이 모습은 현대 사회에서 개인들이 겪는 소통의 단절과 자기중심적 사고를 상징한다.
중앙의 인물은 초록색 천으로 몸을 가린 채 서 있지만, 그 모습조차 완벽히 숨기지 못해 어설프고 가볍다. 이는 인간이 자신의 약점을 가리려는 시도가 오히려 본질을 드러내는 상황을 풍자적으로 보여준다. 
넓게 펼쳐진 자연과 인공적인 구조물은 인간이 자연과 얼마나 동떨어진 존재로 느껴질 수 있는지를 상기시키며, 그들만의 작은 세계에서 스스로를 진지하게 여기는 모습이 우스꽝스럽게 느껴지도록 한다.

세얼간이라는 작업을 통해 인간의 허점과 나약함을 가볍게 풍자하면서도, 그 속에서 공감과 연민을 자아내고자 하였다.

The three people looking in different directions are isolated without being aware of each other, and the connection between them is cut off. This appearance symbolizes the disconnection of communication and self-centered thinking experienced by individuals in modern society.
The figure in the center is standing with his body covered with a green cloth, but he can’t even hide his figure perfectly, so it’s clumsy and ridiculous. This satirically shows the situation in which human attempts to cover their weaknesses reveal their essence.
The wide-spread nature and artificial structures remind us of how far apart humans can feel from nature, and make it feel ridiculous to take themselves seriously in their own small world.
Through the work of 3 Idiots, I lightly satirized the loopholes and weakness of human beings, but I tried to create empathy and compassion in it.

Dollhouse

Ultrachrome HDR Print on Canvas
130.3 × 97.0cm
2024

인형은 외부의 조작에 의해 움직이는 피동적 객체로서 사회적 규범 과 억압 속에서 인간의 자아가 상실되는 과정을 비판적으로 조명한다.
Dolls are passive objects that are moved by external manipulation and critically illuminate the process of human self loss in social norms and oppression.

Afterimage

Ultrachrome HDR Print on Canvas
112.1x112.1cm
2024

빛이 사라졌음에도 한동안 망막에 남아 흔적을 드리우는 잔상처럼, 그녀의 몸과 마음에도 지나간 꿈의 그림자가 희미하게 남아 있다.
지금은 남편을 챙기고 아이를 돌보는 일상이 그녀를 온전히 지배하지만, 유년 시절의 그녀는 무대 위에서 춤추는 삶을 꿈꾸었다.
오래전 입었던 의상을 다시 몸에 걸쳐 보며, 스러져 간 시간 속에서 한때의 자신을 되찾으려는 순간의 그 애틋한 몸짓은 덧없으나 동시에 찬란하다.

Like an afterimage that lingers on the retina even after the light has faded, the remnants of a long-lost dream still faintly echo within her.
Her days are now consumed by caring for her husband and children, yet there was a time when she dreamed of standing under the stage lights, dancing in a world of grandeur.
For a brief moment, she slips into the costume of her past, as if trying to reclaim a version of herself long buried in time. The gesture is fleeting, almost melancholic yet in its transience, it is luminous.

Do not go gentle into that good night

Ultrachrome HDR Print on Canvas
37.9 x 37.9cm
2024

Dylan Thomas - Do not go gentle into that good night

Do not go gentle into that good night, Old age shoul d burn and rave at close of day; Rage, rage against t he dying of the light.
순순히 어둠을 받아들이지 마십시오
노인들이여, 저무는 하루에 소리치고 저항하시오
분노하고, 분노해요. 사라져가는 빛에 대해.

Though wise men at their end know dark is right, Because their words had forked no lightning they Do not go gentle into that good night.
현명한 사람들도 마침내 어둠이 옳다는 것을 알지만, 그 들의 말은 진리처럼 날카롭지 못 했기에, 그들은 순순히 어두운 밤을 받아들이지 않소.

Good men, the last wave by, crying how bright, T heir frail deeds might have danced in a green ba y, Rage, rage against the dying of the light.
선한 이들은, 마지막 파도의 옆에서, 그들의 미약한 선행 이 푸른 만에서 얼마나 밝게 흩날렸는가를 부르짖으며, 분노, 분노하오, 꺼져가는 빛에.

Philosophizing

Ultrachrome HDR Print on Canvas
100.0x80.3cm
2024

He spent hours philosophising about the meaning of life.

The Cynicism of Reason: The Merciless Mockery of the Waves and the Finitude of Humanity

Ultrachrome HDR Print on Canvas
116.8x91.0cm
2024

Art is a window through which we gaze into the depths of the human soul, while philosophy is the effort to understand the world through that very window. The Cynicism of Reason visualizes, with striking intensity, the fragility of humanity, the cruelty of nature, and the mocking laughter of reason that drifts between the two. The ballerina and her partner symbolize the order and harmony of human reason, expressing the most refined beauty through disciplined movement and precise control. Yet the shadow cast behind them, distorted by the waves, evokes a cynical smile—an allusion to the grim truth that reason can never truly overcome the merciless force of nature. It reminds us that the order created by human intellect ultimately stands powerless before the vast current of the natural world.

The Greek philosopher Plato regarded reason as the essence of human existence and believed it could bring order to our understanding of the world. However, in this work, reason is not a savior but an observer—sometimes even a mocker. Within the shadows, human reason is ridiculed. No matter how beautifully we create art or strive to live in harmony, all of it eventually fades into insignificance within the overwhelming tide of nature. Humanity, aware of its finitude, continues to seek beauty, to construct order, and to find meaning within it; yet, even reason itself seems to smile cynically at the limits of our condition.

The great wave symbolizes the violence of nature, as described by Thomas Hobbes, and it is evident that neither reason nor art can withstand it. Still, humanity dances before it. Even when distorted shadows laugh behind us, we continue to move toward beauty. The Cynicism of Reason does not urge us to despair, but rather to face the limits of reason while choosing to dance within them. In the end, humanity remains a being that keeps dancing—even in full awareness of reason’s cynicism—and perhaps that is where the true beauty of our existence lies.

예술은 인간 내면의 심연을 들여다보는 창이며, 철학은 그 창을 통해 세계를 이해하려는 노력이다. 이성의 냉소라는 이 작품은 인간의 연약함과 자연의 무자비함, 그리고 그 사이에서 부유하는 이성의 조소를 강렬하게 시각화한다. 발레리나와 그녀의 파트너는 인간 이성의 질서와 조화를 상징하며, 극도의 훈련과 계산된 움직임으로 가장 정제된 아름다움을 표현하고 있다. 그러나 그들 뒤로 드리운 그림자는 파도와 함께 일그러지며, 이성의 냉소적 미소를 연상시킨다. 그것은 이성이 결코 자연의 무자비함을 넘어설 수 없다는 냉혹한 현실을 암시하며, 인간이 창조한 질서가 궁극적으로는 자연의 거대한 흐름 앞에서 무력하다는 사실을 깨닫게 한다.

그리스 철학자 플라톤은 이성을 인간 존재의 근본으로 보았고, 이성을 통해 세계를 질서정연하게 이해할 수 있다고 믿었다. 그러나 이 작품에서 이성은 구원자가 아니라 관찰자이며, 때로는 비웃는 존재다. 그림자 속에서 인간 이성은 조롱당한다. 우리가 아무리 아름다운 예술을 창조하고, 조화로운 삶을 살려 해도, 그것은 자연의 거대한 조류 속에서 덧없이 사라질 뿐이다. 인간은 자신의 유한성을 인식하면서도 여전히 아름다움을 추구하고, 질서를 창조하며, 그 속에서 의미를 찾으려 하지만, 결국 이성조차도 인간의 한계를 비웃듯 냉소적인 웃음을 짓는다.

거대한 파도는 토마스 홉스가 말한 자연의 폭력성을 상징하며, 인간의 이성과 예술이 그것을 막아낼 수 없음은 자명하다. 그러나 그 앞에서도 인간은 춤춘다. 그림자처럼 뒤틀린 조소가 있더라도, 우리는 여전히 아름다움을 향해 나아간다. 이성의 냉소는 우리가 절망해야 함을 말하는 것이 아니라, 이성의 한계를 직시하면서도 그 안에서 춤을 추는 태도를 제안한다. 결국 인간은 이성의 냉소를 이해하고도 춤을 멈추지 않는 존재이며, 그것이야말로 인간 존재의 본질적인 아름다움이 아닐까.

Valhalla

Ultrachrome HDR Print on Canvas
130.3×80.3cm
2024

In the context of Nordic mythology, Balhala is the ultimate hall where warriors fight desperately on the final battlefield and reach after death, and its existence itself embodies the absolute idea of honor.
Rather than the simple concept of the afterlife, this work implies that an individual or society has achieved the achievement of reaching a ‘paradise’ after repeatedly failing towards the ultimate destination on an existential journey.

Nonpolar

Ultrachrome HDR Print on Canvas
130.3 × 97.0cm
2024

"When you are attached to nothing, you are truly connected to everything.
뭐든 집착하지 않을 때, 진정으로 모든 것과 연결될 수 있다."

Morning Call

Ultrachrome HDR Print on Canvas
162.2x97.0cm
2024

이 그림은 의식과 무의식, 현실과 환상의 경계에서 흔들리는 인간의 내면을 시각적으로 나타내었다.

형체가 분명하지 않은 유기적인 형태와 흐트러진 색채는 감정의 불확실성과 기억의 파편화를 상징한다.
작품 속 인물들은 마치 꿈속에서 흐릿하게 남아 있는 인상처럼 명확하지 않지만, 감각적으로 존재감을 드러내고 있다. 이러하게 명확한 구획 없이 유동적으로 얽힌 색과 형상은 감각과 이성이 교차하는 순간이다. 

마치 막 꿈에서 깨어나 사경을 헤매는 우리의 모습과 같다. 이는 삶이라는 혼란 속에서도 질서를 찾고자 하는 인간의 본능일것이고 끝없는 성장과 변화를 거듭하여 나가고자 하는 의지일것이다.

This painting visually represents the human psyche wavering at the boundary between consciousness and the unconscious, between reality and illusion.
The organic, indistinct forms and dispersed colors symbolize the uncertainty of emotions and the fragmentation of memory. The figures within the work, though lacking clear definition, exude a palpable presence much like the lingering impressions of a dream. The fluid entanglement of color and shape, without rigid divisions, captures the moment where sensation and reason intersect.
It mirrors the state of drifting between dream and wakefulness, embodying our search for order amid the chaos of life. At its core, it reflects an innate human instinct to find meaning and a relentless will to grow and evolve.

살리에리 증후군 : Salieri Syndrome

Ultrachrome HDR Print on Canvas
100.0 x 80.3cm
2024

천재를 시기했던 수재의 노력
The efforts of a brilliant person who was jealous of geniuses

그리고 박수갈채를 받는 천재
A genius who gets applause.

Concrete Serenade

Ultrachrome HDR Print on Canvas
37.9 x 37.9cm
2024

The flowing silhouette and striking color of the yellow maxi skirt command attention, seamlessly blending with her bold upper-body exposure to exude an air of freedom and provocative energy. In contrast, the crisp white shirt and sleek leather pants embody classic sophistication and a strong sense of structure, creating a controlled tension.
The blurred crowd and neon-lit cityscape in the background reinforce the idea that fashion is more than just clothing it’s a language of individuality and expression within an urban context. Ultimately, fashion is not just about styling; it’s an attitude, a statement of identity.

노란 맥시스커트는 유려한 실루엣과 강렬한 색감으로 시선을 사로잡으며, 그녀의 대담한 상반신 노출과 어우러져 자유로움과 도발적인 에너지를 발산한다. 반면, 화이트 셔츠와 가죽 팬츠는 클래식한 세련미와 강렬한 구조감을 지니며, 통제된 긴장감을 형성한다.

흐릿한 군중과 네온사인으로 가득 찬 배경은 패션이 단순한 의복이 아니라, 도시적 맥락 속에서 개성과 메시지를 전달하는 일종의 언어임을 강조한다.
결국, 패션이란 스타일링을 넘어 곧 태도이며, 정체성을 드러내는 하나의 선언이라는 사실을 나타내고자 하였다.

Pray for Me

Ultrachrome HDR Print on Canvas
37.9 x 37.9cm
2024

나를 위해 기도해줄래
이 공허한 침묵 속에서
내가 사라지지 않도록